연혁

본문 바로가기
KR EN

연혁
  HOME  >   조직위원회 소개   >   연혁  
2021
  • 10.  제 12회 청주공예비엔날레 폐막식 및 “공예도시 청주” 선언
  • 09.  제 12회 청주공예비엔날레 개장식 및 공모전 시상식
  • 08.  프레스 데이
  • 05.  2021 청주공예비엔날레 D-100 행사
  • 03.  초대국가관 협약 체결 ‘Atelier d’Arts de France’
  • 02.  2021 청주공예비엔날레 D-200 행사
2020
  • 11.  2021 청주공예비엔날레 D-300 행사
  • 10.  국제자문관 선정
  • 09.  2020 전통공예페스티벌“갓취월장” 개최
  • 01.  청주공예비엔날레 상설 아카이브실 설치
2019
  • 12.  비엔날레 조직위 사무실 및 수장고(작품제외) 이전
  • 11.  제 11회 청주공예비엔날레 폐막식
  • 10.  아시아의 날 행사
  • 10.  초대국가“헝가리”의 날
  • 10.  전국 사립미술관 관장 워크숍
  • 10.  한국 덴마크 워크숍
  • 10.  제 11회 청주공예비엔날레 개막식
  • 09.  D-10 기념 프레스데이 개최
  • 06.  홍보대사 선정 (배우 지진희)
  • 02.  국제교류전“선비의 식탁”전시 개막 : 주시드니한국문화원
2018
  • 11.  ICH NGO 컨퍼런스 참여(베트남: 다낭, 후에 방문)
  • 09.  2018 청주공예페어
  • 04.  문방사우-선비의 벗 국제교류전 개막식
  • 02.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ICHCAP) 업무협약
2017
  • 10.  제 10회 청주공예비엔날레 폐막식
  • 10.  아트청주2017 개막식
  • 09.  제 10회 청주공예비엔날레 개막식
  • 03.  비엔날레 조직위 사무실 이전
  • 02.  D-200 기자브리핑
2016
  • 10.  2016 청주공예페어
  • 08.  WCC(국제공예협회) 가입
2015
  • 10.  제9회 청주공예비엔날레 폐막
  • 09.  제9회 청주공예비엔날레 개막
2013
  • 10.  국공립 미술관장 회의 진행(비엔날레 행사장)
  • 10.  제 8회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폐막
  • 09.  비엔날레 in 서울 개막 (서울 이도갤러리)
  • 09.  제 8회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개막
  • 08.  D-30 조각보 행렬 행사
  • 08.  프레스킷 최종보고 (8.20 중앙지 기자간담회)
  • 07.  비엔날레 조직위 사무동 앞 건물 철거
  • 07.  홍보대사 선정 (배우, 탤런트 구혜선)
  • 07.  D-50 시민과 함께하는 릴레이 조각보 제작 행사
  • 06.  D-100행사 디데이 전광판 제막식 및 조각보 체험행사 , 도코모모 코리아 전시지원
  • 06.  초대국가 독일 학술 심포지움 참석(독일 프랑크푸르트)
  • 06.  페차쿠차 대표주제 선정 (New Quest New Destination)
2012
  • 12.  시민위원회 개최
  • 11.  전시감독 선정 (박남희)
  • 11.  외국인 전시감독 선정 (가네코 겐지)
  • 10.  국제행사 심사 통과 (기획재정부 국제행사심사위원회)
  • 09.  2011비엔날레 지역발전사업 우수사례 기관 표창 (훈격: 대통령 직속 지역발전위원회위원장)
  • 09.  초대국가 및 국제자문관 선정 (초대국가 독일 국제자문관 총 13명 선정)
  • 08.  기획위원회의 개최 및 기획위원장 선출 (홍익대학교 우관호 교수)
  • 07.  비엔날레 조직위원회 내 학예실 설치
  • 06.  비엔날레 전담부서 신설 (조직위원회 21명 구성)
  • 05.  국제행사 타당성 용역팀 청주방문
  • 05.  지역발전사업 우수사례 평가단 방문
2011
  • 12.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대한민국 미술인의 날 공로상 수상 (2011. 12. 7)
  • 11.  한일규방공예 일본 오사카 전 (11.1~11.20 일본 오사카 한국문화원)
  • 10.  초대국가 핀란드의 날 행사
  • 10.  제 7회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개막 및 폐막
  • 08.  성과분석 연구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 07.  찾아가는 비엔날레 (7.25~9.16 현대백화점 서울 미아점, 무역점, 일산 킨텍스 점)
  • 06.  자문위원회 위촉식 (총 40명)
  • 04.  조직위 사무국 이전 (옛 청주연초제조창)
  • 03.  젊은공예포럼 개최 (도심재생과 아트팩토리, 새로운 꿈을 디자인하다)
2010
  • 12.  찾아가는 비엔날레 (12.3~12.12 수곡2동 주민자치센터)
  • 08.  전시감독 임명 (정준모)
  • 06.  찾아가는 비엔날레 (6.21~6.27 청주 라마다호텔)
  • 04.  찾아가는 비엔날레 (4.30~5.28 충북학생교육문화원 바이오과학관 수상작 전시)
  • 01.  한·캐나다 공예특별전 (1.13~4.11 캐나다 벤쿠버 뮤지움)
2009
  • 11.  제 6회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폐막
  • 09.  제 6회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개막
  • 04.  시민홍보대사 및 자문위원 위촉 (시민홍보대사 21명, 자문위원 5명)
  • 01.  한국공예관 가경동 지점 개관
2008
  • 10.  조직위 사무국 이전
  • 10.  홍보대사 위촉 (디자이너 이상봉)
  • 08.  전시감독 임명 (이인범)
  • 08.  한국공예관 기획전 ‘충북공예_열정에 호흡하다’ (8.26~9.13)
  • 04.  문화부 기자 간담회
  • 04.  한·일 어린이 공예교류전 (4.25~5.7 도쿄 신주쿠타워)
  • 03.  앙코르 비엔날레 개최 (3.24~4.12)
2007
  • 10.  프레스데이 개최
  • 10.  제 5회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개막 및 폐막
  • 07.  직지UN전시 (7.19~8.27 UN본부로비)
  • 07.  국제행사 승인 (지식경제부)
  • 06.  시민참여 프로젝트 참여기관 및 단체 간담회
  • 06.  한·미 보자기 특별전 ‘하와이 전시’ (2007.6.14.~9.2, 하와이 호놀룰루 미술관)
2006
  • 12.  조직위원회 전시부 사무국 구성
  • 09.  인사동 아트샵 설립 기자간담회
  • 09.  07‘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기획위원회
2005
  • 10.  서울시의 날 행사 (서울시장 이명박, 유인촌 대표 참석)
  • 10.  명예홍보대사 위촉 (탤런트 김석훈)
  • 10.  제 4회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폐막
  • 09.  국제공예심포지엄 개최
  • 09.  제 4회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개막
  • 04.  역대 수상작 특별전 (서울 인사동 경인미술관)
  • 03.  한-유럽 도자 특별전 개최
2004
  • 12.  한-아세안 10개국 공예인 특별전 개최
  • 12.  명예홍보대사 위촉 (영화배우 이영애, 영화감독 박찬욱)
  • 12.  총감독 오원택, 큐레이터 최범 선정
  • 11.  조직위원회 추진본부 개소
  • 10.  조직위원회의
  • 10.  제 2회 청주공예문화상품대전 개최
  • 05.  기획위원회 구성
2003
  • 10.  제 3회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개막 및 폐막
  • 04.  청주시문화산업진흥재단 사무총장 조직위 본부장 취임 (유인기)
  • 04.  조직위원회 출범식 및 홍보위원 발대식
  • 03.  전시총감독 기자간담회 및 슬로건 확정 ‘혼 담아 예술로, 마음 담아 생활로’
  • 02.  시민·사회단체 간담회
  • 02.  2003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조직위원회 개최
  • 01.  조직위원회 1차 정례회의 개최 (매주 목요일, 16시)
  • 01.  홈페이지 서비스 개시 (www.okcj.org)
2002
  • 12.  비엔날레 전시총감독 선정(한국전통문화학교 최공호 교수)
  • 12.  운영위원회의 개최
  • 09.  조직위원장 취임 (청주시장 한대수)
  • 02.  조직위원회 재구성
2001
  • 10.  01’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개막 및 폐막
  • 09.  국제자문관 회의
  • 08.  종합추진상황보고회 개최
  • 08.  2011청주국제건축디자인캠프(8.1~8.6)
  • 04.  제 2회 청주시공예품경진대회 개최
  • 04.  슬로건 설정 “미래를 여는 공예의 향연”
  • 01.  조직위원장 선정(청주시장 나기정) 및 조직위원회 구성 조직위원회 구성(청주시 파견 공무원 13명, 청주시문화사업단 2명)
  • 01.  청주지역 21개 지역시민사회단체 참여 간담회 개최
2000
  • 12.  비엔날레 정관 및 회계규칙 개정
  • 10.  운영위원회의
  • 05.  비엔날레 운영위원 선정 (15명)
  • 03.  제 2회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전시예술감독 선정 (99‘비엔날레 큐레이터 장동광)
  • 01.  조직위원회 재구성
1999
  • 10.  제 1회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폐막
  • 09.  제 1회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개막 (김대중 대통령 방문)
  • 05.  제 1회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큐레이터 선정 (일민미술관 수석큐레이터 장동광)
  • 03.  운영위원회 구성
  • 02.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조직위원회 정관수립, 고문⋅자문위원 선정, CI 선정
  • 01.  준비위원회의 개최 (조직위원회 구성(제 1대 추진본부장 박희종) 및 기획위원회 구성)
1998
  • 11.  99’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개최 계획 수립
  • 02.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발의
[28501] 충북 청주시 청원구 상당로 314 (내덕2동 201-1) 청주공예비엔날레조직위원회
T. 043-219-1818F. 043-268-0256

Copyright © 2019 Cheongju Craft Biennal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