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KR EN

보도자료
  HOME  >   열린마당   >   보도자료  

[보도자료]8월26일_D-13, 개막 초읽기 들어간 청주공예비엔날레 프레스 간담회서 성공‧안전 개최 다짐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1-08-27 17:20 조회2,226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D-13, 개막 초읽기 들어간 청주공예비엔날레

프레스 간담회서 성공안전 개최 다짐

 

- 26(), 한국프레스센터서 프레스 간담회 개최

서울지역 신문·방송, 전문지 대상 비엔날레 소개 및 추진상황 브리핑

- 위드코로나 시대 안전 비엔날레 위한 총력전 다짐

 

 앞으로 13! 개막 초읽기에 들어간 2021 청주공예비엔날레가 프레스 간담회에서 안전하고도 성공적인 행사개최를 다짐했다.

 

청주공예비엔날레조직위원회(집행위원장 박상언, 이하 조직위)D-13을 맞은 26() 오전 11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프레스 간담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서울지역 신문방송사를 비롯해 외신, 계간 문화전문지 기자들을 대상으로 한 이날 프레스 간담회에서 조직위는 본전시를 비롯해 초대국가관_프랑스 청주국제공예공모전 충북공예워크숍 공예마켓 미술관 프로젝트 학술행사 등 2021 청주공예비엔날레 행사 전반을 브리핑하고 추진상황을 공유했다.

 

온오프라인 비엔날레 동시 개막을 위해 역대 행사 가운데 가장 빠른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고 밝힌 조직위는, 마무리 단계로 온라인 비엔날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막바지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고도 전했다.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으로 사상 첫 온라인 비엔날레를 병행하게 된 조직위는 오히려 이러한 상황이 장소와 시간, 국경의 제약 없이 전 세계가 40일간의 공예축제를 즐길 수 있게 만들었다며 온오프라인 관람객 모두를 만족시킬 관람 포인트를 공개했다.

 

온라인으로 즐기는 Pre & Free 비엔날레


조직위는 이번에 처음 시도하는 온라인 비엔날레의 키워드로 미리를 뜻하는 영어 접두사 <Pre>자유또는 무료를 뜻하는 <Free>를 꼽았다.

 

이는 현장에서 직접 비엔날레를 즐기기에 앞서 온라인을 통해 미리 둘러보며 기대감과 방문욕구를 높이는 계기가 될 거라는 자신감과 더불어 관람료와 이동의 부담, 무엇보다 사회적 거리두기의 부담 없이 전 세계 어디서나 클릭 한 번만으로 비엔날레를 자유롭게 즐길 수 있다는 온라인의 최대 장점을 집약한 것으로, 조직위는 온라인 기반의 Pre & Free 비엔날레가 관람객의 행사 참여율과 집중도를 높이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를 위해 본전시 주제영상을 비롯해 각 전시장 VR 또는 드론 투어, 참여 아티스트 별 작품 및 인터뷰, 온라인 갤러리 등의 실제 전시장에서 만날 수 있는 것과는 또 다른 콘텐츠들로 온라인 비엔날레를 구축 중인 조직위는, 그러나 온라인만으로는 비엔날레의 진정한 면모와 색깔을 모두 만족하긴 어려울 것이라며 랜선의 갈증을 해소할 경험하는 공예의 즐거움을 또 하나의 관람 포인트로 꼽았다.

 

랜선의 갈증을 해소할 경험하는 공예의 즐거움


조직위는 온라인 비엔날레와 구분 짓는 가장 큰 차별전략으로 본전시와 연계한 공예문화향유 프로젝트를 마련했다. 이달 31()까지 사전예약이 진행 중인 공예가 되기키트를 비롯해 비엔날레 기간 동안 오직 현장에서만 즐길 수 있는 비 마이 게스트’, ‘공예탐험 바닷속으로3개의 프로젝트는 랜선에서는 해소할 수 없는 경험하는 공예의 즐거움을 관람객에게 선사할 예정이다.

 

공예문화향유 프로젝트 1 - 공예가 되기

다양한 분야의 공예 작가 14명이 자신의 작품을 키트화 해 관람객이

직접 손수 만들어볼 수 있게 한 프로그램이다. 미니 크로스백부터 금속 브로치, 은잔, 나전칠기함 등 공예 작품을 작가가 직접 설명하는

가이드 영상을 따라 만들면서 제목 그대로 공예가가 되어보는 프로그 램이다. 각 키트별로 10개씩 리미티드 에디션으로 기획되었으며, 31()까지 사전 예약한 관람객 대상으로 91일부터 키트 배송이 시작

된다.

 

공예문화향유 프로젝트 2 비 마이 게스트

전시장 내 설치된 글래스랩(glass lab)에서 진행되는 워크숍 프로그램 으로, 일반 관람객을 대상으로 하는 공예 업사이클링과 코로나19 공공의료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공예 연회가 사전예약제로 진 행된다. 버려진 자원에 새생명을 불어넣는 업사이클(upcycle) 과정을 통해 보자기, 브로치, 조명 등을 만들어볼 수 있으며 꽃꽂이, 음식, , 술 등 일상의 기호문화와 공예작품이 어우러진 연회를 통해 삶에 이 로운 공생의 도구로서의 공예가치를 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공예문화향유 프로젝트 3 공예탐험 바닷속으로

어린이부터 어른이까지 모든 연령대의 관람객을 사로잡을 비장의 무 기가 될 공예탐험-바닷속으로는 인도네시아 섬유작가 물야나 (Mulyana)와 한국의 음향 설치 작가 한성재가 협업해 꾸민 공예 공감 놀이터다. 손뜨개로 완성한 강렬한 색감의 바다풍경과 상상속의 해양 생물로 대규모 설치작업을 보여온 물야나는 이번 청주공예비엔날레 주전시장인 문화제조창의 갤러리 하나를 통째로 바다로 바꿔 놨다. 여 기에 신비로운 바다를 유영하듯 설치된 한성재 작가의 예술스피커는 시각과 청각, 촉각까지 오감을 자극하는 공예탐험을 선사할 것이다. 그 즐거움 속에 인간의 이기심으로 오염돼 가는 해양생태계의 현실을 자각하고, 공생공락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게 되는 경험은 임미선 예 술 감독이 숨겨놓은 이 프로젝트의 진짜 목적이다.

 

한편 공예문화향유 프로젝트는 모두 사전 예약을 통해 진행되며, 관람객에게 경험하는 공예의 즐거움을 더할 시연과 체험 중심의 충북전통공예워크숍도 비엔날레 기간 동안 진행된다.

 

97(), 개막 전야행사로 청주국제공예공모전 시상식 진행


조직위는 오는 97() 개막 전야행사로 청주국제공예공모전 시상식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도 불구하고 2019년보다 71점 많은 874점이 출품돼 국제적인 위상을 다시금 확인한 청주국제공예공모전의 올해의 공예 부문 대상작으로는 정다혜 작가의 말총-빗살무늬가 선정됐다. 전통 을 제작할 때 사용하는 연약한 소재인 말총(말의 갈기나 꼬리털)’을 한 줄씩 쌓아 올려 토기의 형태로 빚어낸 섬세한 기법은 전통의 소재와 현대적 감각을 아우르는 놀라운 작품이란 찬사를 얻으며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대상을 거머쥐었다.

 

이어 금상에는 이선미 작가의 <안경알 땅빛 육각문 항아리>가 선정됐으며, 은상은 켄지 혼마(Kenji Honma) 작가의 <Five-tiered Box of Japanese Big Leaf Magnolia>와 박영호 작가의 <Memory Drop>, 오석천 작가의 <Metal+Metal>이 각각 차지했다. 동상은 카주히로 토야마(Kazuhiro Toyama) 작가의 <Biophilia;Ephemeral Bowl>, 강우림 작가의 <Organic Relation>, 강형자 작가의 <아기장수>, 김두봉 작가의 <Wave>, 황아람 작가의 <틈새의 그릇>이 선정됐다.

 

공모전 심사위원은 팬데믹 상황에서도 국내외 다수의 작품이 출품되면서 비엔날레와 국제공예공모전은 이미 세계가 주목하는 국제적인 공예 축제로 자리매김했다올해 공모전에는 작가들이 사용한 소재나 형식의 다양성들이 다채로워 적절한 균형을 이루며 진행되어 바람직했다고 평가했다.

 

수상자들에게는 대상 5,000만원 금상 2,000만원 은상 1,000만원 동상 500만원의 상금과 후속 연계 전시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시상식은 오는 9719시 비엔날레 주전시장인 청주 문화제조창 본관 5층 공연장에서 진행되며, 대상을 비롯한 입상작들은 비엔날레 개막일부터 40일 동안 문화제조창 본관

[28501] 충북 청주시 청원구 상당로 314 (내덕2동 201-1) 청주공예비엔날레조직위원회
T. 043-219-1818F. 043-268-0256

Copyright © 2019 Cheongju Craft Biennale. All Rights Reserved.